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2 [공유기][nginx] 공유기내부 에서 nginx 설정 시 server_name nginx 에서 사용하는 웹 설정을 변경하기위한 내용인데하다보니 공유기, DNS서버 와 관련이 있어서 내용을 남겨본다.설명이 길고 글로 이해하기 어려우면 맨 아래 결련만 보길. 우선 회사 내부 환경의 서버이고 공유기가 있으며 내부IP로 192.168.0.X 를 사용하고 있고지금 설정하는 서버의 IP는 192.168.0.240 이라고 가정한다. 기존에 예를 들어 example.usg.kr 이라는 도메인을 회사내 내부 서버로 해서 웹을 서비스했다. 그렇다면 DNS서버에는 저런식으로 설정이 되어있고 IP주소 118.131.xxx.xxx 는 공유기의 리얼IP(외부IP) 다.당연히 공유기에서 외부 80 포트 -> 내부 192.168.0.240 IP의 80 포트로 포트포워딩 해놨다.그러다 80 포트를 다른용도르 .. 2024. 11. 24. [linux][redmine] rocky linux 9에 redmine 수동 설치하기 [잡설]기존에는 redmine을 시놀로지 DSM 6 버전에서 패키지 설치하여 사용하다DSM 7 버전으로 올라가면서 redmine 패키지가 사라지면서 사용을 중단 하였다.그러다 다시 필요해져서 시놀로지 도커에 올려서 쓸까 하다가 linux 에 설치하는걸로 결정했다.아직도 도커 보다는 시스템에 설치하는걸 더 선호하는 편이다.목표는 작은 pc 하나 구해서 rocky linux 9 설치하고 redmine + gitea 설치하는게 목표다.근데 redmine 설치하는게..... 생각보다 잘 안되네....제작년에 설치해보고 문서로 정리해놓은것도 있는데 버전업 되면서 달라진것도 많고생각보다 참고할 문서가 별로 없다. redmine 이 일반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도 아니긴 하지만...간단히 설치하려고 bitnami 를 알.. 2024. 11. 17. [synology][gitea] 시놀로지 7.2 에서 gitea 사용하기(port 변경) 기존에 DSM 6.x 버전에서는 회사 소스관리용으로 설치형 git 인 gogs 와 svn을 사용했었다. 하지만 작년부터 DSM 7.x 버전으로 넘어왔는데... DSM 7 버전부터는 gogs도 svn도 지원 패키지에서 빠졌다. 물론 docker 에 설치하면 모두 설치가 가능하다. 근데 나는 아직 근거없이 가능한 로컬로 설치하는게 좋다. 이전 사용할때 gogs 는 쓸만하긴 한데 저장소 검색기능이 없었다. 저장소가 몇개 없을때는 상관없었지만 저장소가 몇십개 되다보니 검색기능이 아쉬웠는데... 이번 기회에 다른 설치형 git 서버를 찾다가 gitea 를 알게 되었다. "깃티" 또는 "깃테아" 라고 부르던데, gogs 의 클론 버전인듯 하다. 우선 gogs를 사용한 나로서는 익숙하고 gogs 에 비해 저장소 검색.. 2024. 3. 3. [linux][oracle19c]Rocky 8 에 oracle 19c 설치하기 이전에 11g 설치할때는 xming쓰는걸 해본적이 없어서 리눅스를 GUI 로 설치해서 했는데이번 19c 설치는 xming 을 사용해 원격에서 설치했다.linux 에 X11 관련 패키지들 다 설치(아래 과정에 있음)하고 PC에 Xming 설치/실행후 putty에서 아래처럼 만 체크하고 ":0.0" 입력하면 된다. rocky linux 8.8 과 8.10 에서 해봤고rocky linux 9.5 에서도 해봤지만 gcc 컴파일러 버전 문제인지 UI 진입 후 oracle 설치 하는 단계에서 error 발생해서 포기했다. 우선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포스팅이나 설치 문서를 보면서, 뭐지? 싶었던건 두가지가 있다. 1. hosts 파일에 IP 주소와 호스트명을 넣어주는것. (hosts 파일이 뭐하는 파일인지 .. 2023. 10. 2. [linux][Rockylinux9] console 화면으로 커널 로그 출력될때 시스템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linux를 오래 사용해왔다. 가장 많이 사용해온건 centos 였고 얼마전 유료화 되면서 redhat 포크 버전인 Rocky linux 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Rocky linux 8 사용까지는 화면에 로그 출력이 없었는데 Rocky linux 9 버전을 설치하면서 부터 자꾸 모니터에 커널 로그가 뿌려진다. 모니터 콘솔에서 작업을 하다가도 갑자기 커널로그가 찍혀버리니까 좀 불편하기도 하고 눈에 거슬리기도 하는데, 나름 시스템 전문으로 오래 만져봤다는 몇 분께 물어봐도 잘 모르신다.... 당연히 어딘가에서 설정하면 되겠지라는건 알지만 어디서 뭘 설정하는지를 모르겠고, 혹시 설치하는 과정에 어떤 설정 옵션이 있지 않았을까 하고 아무리찾아봐도 못찾겠는데 우연히 찾기는 했다^.. 2023. 9. 10.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